투자일기22 SCHD ETF 적립식 투자 200일 해 본 후기(+수익 배당금) 이번 글에서는 배당성장 etf의 대명사라고 알려진 찰스슈왑의 schd etf를 200일간 적립식 매수한 후기 및 수익과 배당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아마 주식을 하는 사람이라면 '복리의 마법'이라는 단어를 한 번쯤은 들어봤을 거라 생각한다. 적은 돈을 투자했더라도 이자에 이자가 붙고 거기에 시간이라는 마법이 더해지면 엄청나게 큰돈으로 돌아온다는 것이다. 복리의 마법 72의 법칙이란? 그래서 배당성장률이 높고 안정적인 etf를 찾다가 찰스슈왑의 schd etf를 선택하게 되었다. 해당 etf에 투자를 고려한 이유는 아래의 글에 써두었으니 궁금하다면 아래 글도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SCHD ETF 배당과 성장 모두 얻는 방법 📌함께 읽어보면 도움이 되는 글들 자동 주식 모으기 리얼티인컴(O) 200일 .. 투자일기 2023. 6. 21. 더보기 ›› 자동 주식 모으기 리얼티인컴(O) 200일 동안 매수한 후기(+수익 배당금) 2020년에 팬데믹이 닥친 이후로 많은 사람들이 주식시장에 뛰어들었고, 나 역시 그중에 하나였다. 처음부터 난 소심하고 조금만 가격이 움직여도 흔들릴 것을 스스로 너무도 잘 알았기 때문에 토스증권에서 제공하는 자동 주식 모으기 기능을 통한 적립식 투자를 하기로 마음먹었다. 그런데 처음 투자를 시작할 때는 '소수점'투자라는 개념을 잘 알지 못했기 때문에 매 달 asml이라는 기업의 주식을 한 개에서 두 개씩 매수했다. ASML 주가 하락에도 매수하는 3가지 이유 처음 매수할 당시 가격이 370달러 선이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그걸로 수익을 꽤 내고, 나에게는 적립식 투자가 어울리는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아직까지도 매수 및 보유 중) 그러다가 포트폴리오에 매 달 월세처럼 배당금을 입금해 주는 기업이 있다고 .. 투자일기 2023. 6. 20. 더보기 ›› 9월 CPI 발표 이후 요동치는 미국 주식시장을 보고 느낀 점 9월 CPI 발표 이후 요동치는 미국 주식시장을 보고 느낀 점을 간단하게 요약해서 써보고자 한다. 많은 사람들이 이번 9월 CPI 예상치를 보면서 예상치를 상회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주가의 추가 하락을 예상했다. 이미 발표 2시간 전부터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이더리움을 포함한 알트코인들이 하락을 이어가고 있었고, 나 역시 비트코인 선물거래를 통해서 하락에 베팅하고 수익을 내고 있었기에 원웨이로 하락을 생각하고 있었다. 9시 30분에 CPI 발표 후 역시나 예상대로 인플레이션은 전혀 잡히지 않았고, 예상치를 상회하면서 인플레이션이 아직 심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주식창을 켜서 살펴보니 말 그대로 주식 차트는 '폭락'이라고 불러도 될 정도로 엄청난 추락을 하고 있었다. 특히.. 투자일기 2022. 10. 14. 더보기 ›› 하락장에 추천하는 고금리 적금 4.6% 무조건 받는데 왜 안해? 하락장에 대처하는 올바른(?) 자세라고 할 수 있는 고금리 적금 상품을 내가 직접 가입해봤고 괜찮은 거 같아서 가입 방법 안내와 함께 추천해보고자 한다. 케이뱅크에서 우대금리 이벤트와 함께 나온 적금으로 이렇게 주식시장과 암호화폐, 부동산 시장까지 좋지 않을 때는 '원화'에 투자하는 적금이 가장 좋은 투자상품이 아닐까 생각해서 추천하게 되었다. 요즘 고금리 시대라고 해서 하루가 다르게 대출이자는 어마어마하게 상승하지만 실제로 그에 비교하면 예적금 금리는 거의 안 오르다시피 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충격적인 고금리 4.6%를 챙겨주고 별다른 신용카드 사용조건도 없는 엄청난 적금상품이 있어서 소개하고자 한다. 솔직히 나도 최근 2년 투자했던 수익금을 그대로 까먹은 것뿐만 아니라, 내 블로그 방문자라면 알.. 투자일기 2022. 6. 2. 더보기 ›› 루나클래식 차이점 그리고 에어드롭 / 루나 잘 가 내가 가장 크게 투자했던 루나가 며칠 사이에 증발하면서 내 자산도 함께 증발했다. 그러고 나서 며칠 뒤 Propasal이 거버넌스에 상정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루나의 재탄생(?)을 기대했다. 루나 잘 모른다면 루나는 올해 4월에 최고점인 120달러(한화 약 14만 원)를 찍으면서 엄청나게 상승한 김치(한국) 코인이었다. 사람들은 시총 10위권 안에 들어간 루나를 보면서 탈김치 코인이라며 환호했다. 연이율 20%의 마법 시총 10위에 루나와 함께 알고-스테이블 코인 UST(알고리즘에 의해 코인 1개가 1달러의 가치를 가지는 코인)의 사용처가 늘어나기를 기대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내 돈뿐만 아니라 가족과 애인, 지인의 돈까지 모두 20% 연이율의 놀라운 '앵커'에 예치했다. 폭락 하지만 UST가 1달러에 페깅이.. 투자일기 2022. 5. 27.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