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애브비(AbbVie)주가 장기투자가 괜찮은 이유는?(+바이오섹터 전망)

익꿍 2025. 4. 23.
반응형

애브비 주가 장기투자가 괜찮은 이유와 바이오섹터 전망까지 한 번에 알아보도록 하겠다.

 

가족의 미래를 위해서 안정적 자산 형성을 고민하는 시기에, 배당과 성장에 대한 가능성을 모두 갖춘 투자처를 찾는 건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특히 나처럼 30대 후반 가장으로서 자녀 교육비와 함께 노후준비를 동시에 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더욱 그렇다.

 

이런 고민 속에서 글로벌 제약회사 애브비가 좋은 투자처가 될 수 있을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다.

애브비 뭐가 매력적인 회사일까?

애브비는 현재(2025년 4월 23일 기준)173.78달러의 주가와 3.7%가 넘는 매력적인 주당 배당률을 자랑하고 있다.

12년 연속 배당 인상 기록을 가진 애브비는 안정적 수입원을 찾고 있는 투자자들에게 꾸준히 사랑받아온 기업이며, 배당을 늘려주는 배당친화적 기업으로 주가와 배당을 통한 두 가지 수익을 얻기에 좋은 기업이다.

애브비(AbbVie)주가 장기투자가 괜찮은 이유는?(+바이오섹터 전망)1

휴미라와 스카이리지, 린보크 등 주요 제품들은 이미 글로벌 약품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에 꾸준한 현금흐름 발생과 기업의 이익에도 기여를 하고 있다.

트럼프 정책으로 인한 바이오 섹터 전망

2025년 1월에 취임한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은 바이오 섹터에 긍정/부정적인 양면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 규제 완화'라는 비공식 입장(?)이 있는 만큼 신약 승인 가속화와 함께 기업에 대한 세율을 낮추는 것은 애브비와 같은 기업의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

 

실제로 트럼프 1기 당시에도 FDA는 신약 승인에 대한 절차 자체를 간소화한 바 있으며, 이번에도 비슷한 정책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애브비의 신약 중에서 파킨슨병 치료제로 알려진 타바파돈의 임상 및 승인 속도가 빨라질 수 있으므로, 앞으로 애브비의 성장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반면에 지금 가장 큰 이슈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는 '관세'때문에 의약품 수입에도 관세를 부과하면서 비용의 증가를 야기할 수 있는데, 다행스럽게도 애브비는 미국 내 생산 비중이 높아서 직접적인 타격이 적을 것으로 보인다.

 

단,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인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이것이 바이오섹터 전반적으로 Net Margin 감소에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애브비 주가는 트럼프 관세 관련 정책에 대한 우려로 인해 218달러에서 170달러까지 하락했으나, 이는 테크주들의 큰 낙폭에 비하면 그리 크지 않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바이오 섹터 성장 전망

2025년 바이오 섹터는 전반적으로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면역항암제 시장은 2025년에 약 1,300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10% 이상의 성장을 예상하고 있으며, 애브비의 '스카이리지'는 2025년에 147억 달러, 린보크는 76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49%의 휴미라 매출 감소를 충분히 상쇄할 수 있는 수준이므로 애브비의 주가에도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개인적인 관점에서 애브비 투자는?

내가 개인적으로 애브비 투자 전에 고려했던 것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애브비는 무엇보다 연 3.7%가 넘는 배당률과 함께 지속적 배당금 인상, 그리고 안정적인 주가 상승까지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애브비(AbbVie)주가 장기투자가 괜찮은 이유는?(+바이오섹터 전망)2
애브비(AbbVie)주가 장기투자가 괜찮은 이유는?(+바이오섹터 전망)3

내가 현재 투자하고 있는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 액티브(연 8~9% 배당)보다는 낮은 편이나, 커버드콜 전략으로 인한 상방제한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투자처라는 것이 매력적으로 느껴졌다.

 

개인적으로 목표주가는 약 220달러까지 생각하고 있으며 25% 이상 주가 상승을 통한 수익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조심스레 고민하며 투자해봤다.(투자 권유 아님)

구체적 투자 계획은?

월 20~50만 원을 투자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2~3개월마다 1주씩 적립식으로 매수하는 전략이 적합하며 연간 약 6주를 투자하면 매년 약 39.36달러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으며, 이를 재투자함으로써 복리효과를 통해 자산이 더 빠르게 증가할 수 있을 것이다.

투자 계획 상세 내용
계좌 선택 해외주식 거래가 가능한 증권계좌
매수 방식 2개월마다 1주(약 174달러)적립식 매수
연간 투자 약 6주 매수
예상 배당 연간 약 40달러
포트폴리오 비중 전체의 10~20% 내외

애브비는 미국주식이기 때문에 해외주식 거래가 가능한 증권계좌를 통해서 투자해야 한다.

 

아쉽지만 ISA에서는 거래가 불가능하며, 배당소득에 대해서는 미국에서 15% 원천징수세가 적용되며 국내에서도 배당소득세가 부과된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지금 매수 타이밍으로 적절할까?

현재 애브비 주가는 52주 고점인 약 220달러 대비 크게 낮은 수준이다. 좋은 매수기회가 될 수 있을거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하는데 특히 4월 25일에 있을 1분기 실적 발표는 주가의 큰 변곡점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스카이리지와 린보크의 매출 성장이 휴미라의 매출 감소를 얼만큼 상쇄하는지에 따라 애브비 주가 전망이 크게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애브비 장기투자 | 10년 또는 20년 후 모습은?

장기투자자 관점에서 애브비의 예상 수익률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투자 기간 원금 예상 자산 가치 누적 배당 총 수익률
10년 10,420달러 1년에 6주씩 10년 매수 12,836달러 약 400달러 약 27%
20년 20,840달러 1년에 6주씩 20년 매수 30,000달러 약 1,200달러 약 50%

10년 시나리오에는 연간 6주 매수로 총 60주를 투자하고 20년 시나리오에서는 총 120주를 투자하는 것으로 가정했다.

 

이는 주가가 213달러 이상 올라가고 배당이 꾸준히 증가한다는 가정 하에 산출한 것으로 단순하게 계산한 결과지만, 지속적인 배당수익과 함께 적은 돈으로 시간을 통한 '복리의 마법'이 더해지면 얼마나 큰 목돈으로 돌아오게 되는지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투자는 결국 꾸준하게 지속하는 사람이 승리하는 '마라톤'과 같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가정을 책임지는 가장으로서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 수익을 추구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지금 시점에는 해외주식 계좌로 애브비 매수를 시작하고 4월 25일 실적 발표 후 추가 매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선택이 되지 않을가 생각한다.

 

장기적으로는 2개월마다 1주씩 지속적으로 적립식 매수를 해서 평균 매입가를 낮추고 배당금은 다시 재투자를 진행해서 복리 효과를 극대화 하는 전략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겠다.

 

자녀의 교육비와 결혼자금 그리고 본인의 노후까지 준비하느라 한창 바쁜 30대 중반이라는 시점에 투자 결정에 따라 10년, 20년 후 가족의 행복한 미래를 뒷받침 할 수 있는 기반이 하나 더 만들어질 수 있다는 걸 기억하기 바라며 글을 마치도록 하겠다.


팔란티어 주요 기술 및 제품 시장동향 장기적 전망과 투자 리스크

 

팔란티어 주요 기술 및 제품 시장동향 장기적 전망과 투자 리스크

이번 글에서는 팔란티어 주요 기술 및 제품 시장동향 그리고 장기적 전망과 투자 리스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최근 유튜브를 보다가 AI혁명의 중심에 있는 기업 중 하나이면서 이미 투자

ikggung.kr

알트리아 그룹(MO)투자 분석 | 지금 매수를 해야하는 이유는?

 

알트리아 그룹(MO)투자 분석 | 지금 매수를 해야하는 이유는?

이번 글에서는 알트리아 그룹(MO)투자 분석 후 지금 매수를 해야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알트리아 그룹은 담배 및 담배와 관련된 상품을 생산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미국 시장에

ikggung.kr

미국 빅테크 20개 기업을 3만 원에 소유하는 TOPT ETF 배당금은?

 

미국 빅테크 20개 기업을 3만 원에 소유하는 TOPT ETF 배당금은?

이번 글에서는 미국 빅테크 20개 기업을 3만 원에 소유하는 TOPT ETF에 대해 알아보고 배당금은 어떻게 지급되는지도 소개하도록 하겠다. 엔비디아는 이미 텐배거가 돼서 가격이 너무 올랐고, 마

ikggung.kr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