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켓랩 RKLB 재무제표 기업분석, 스페이스X 대비 경쟁우위 있을까?
얼마 전만 해도 4달러였던 주식이 25달러를 넘었다니 무려 6배 가까이 올랐는데...이 미친 성장세의 기업은 도대체 무슨 비밀이 있을까요?
스페이스X만 호시탐탐 매수하려고 노리고 있는 여러분에게 나스닥에서 유일한 대안인 로켓랩을 제시해볼게요.(투자 권유 아니고, 공부한 내용 공유!)
로켓랩 RKLB, 무슨 회사지?
저도 처음에는 로켓랩이 무슨 회사인지 잘 몰랐는데요. 4년 간의 미약한 주식투자 경험에서 가장 흥미로운 종목 중 하나가 되었거든요.
간단하게 말해서 로켓랩(RKLB)은 2006년 뉴질랜드부터 시작해 현재는 미국에 본사를 둔 우주발사 기업이에요.
제 투자 여정 중에서 배운 중요한 교훈 중 하나라면 "성장할 산업을 찾은 후 그 산업의 2등을 노려라"라는 거였는데요.
그 이유는 산업의 발전을 통해 1등 기업은 가치가 극히 고평가되는 경우에도 2등은 조용히 가격 격차를 줄이며 따라가기 때문이었어요.
로켓랩은 정확히 그런 회사라고 할 수 있는데요.
스페이스X가 압도적인 1위 기업이지만, 그건 비상장 기업이기 때문에 '데스티니테크 100'과 같은 우회투자만 가능하거든요. 사실상 주식은 일반 투자자는 직접 살 수가 없죠.
반면에 로켓랩은 나스닥에 상장되어 있는 구매가 가능한 스페이스X라고 할 수 있겠네요.
현재 로켓랩은 '일렉트론(Electron)'이라는 소형 로켓으로 63회 이상 발사 중에서 59회 성공이라는 놀라운 기록을 가지고 있는데요. 일렉트론은 최대 300kg의 소형 위성을 우주로 쏘아올릴 수 있답니다.
중형 로켓인 '뉴트론(Neutron)'의 경우 올 해 하반기에 발사를 목표로 개발중이라고 하더라구요.[출처 : 로켓랩 공식 웹사이트 자료]
재무제표로 보는 로켓랩 성장
주식 초보 시절에는 숫자가 가득한 재무제표를 살펴보는 거 자체가 '곤욕'이었는데요. 하지만 이제는 몇 가지 핵심 지표만 보는 방법을 알게 되서 여러분들과 공유해보도록 할게요.
✅폭발적인 매출 성장
- 2023년 : 2억 4,460만 달러
- 2024년 : 4억 3,620만 달러(78% 증가)
- 2025년 1분기 : 1억 2,300만 달러(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
- 2025년 2분기 예상 : 1억 3,000만 ~ 1억 4,000만 달러 사이
주식을 시작한 지 4년차인 제가 봐도 성장률이 눈에 띄는 수준이라고 할 수 있을 거 같은데요. 보통 회사들이 10~20% 성장만 해도 정말 괜찮은 수준인데 여기는 30~70% 성장이라니... 앞으로 기대가 될 수 밖에 없죠.
✅순이익은 있을까?
아직 순이익이 아닌 순손실을 기록중인데 '적자기업'인데요. 꾸준히 개선되고 있어요.
- 2023년 순손실 : 1억 8,260만 달러
- 2024년 순손실 : 2억 9,000만 달러
- 현재 주당 순손실(EPS) : -0.40달러
- 2025년 예상 EPS : -0.33달러
아직 적자이긴 하지만 매출 대비해서 손실의 비율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회사에요. 2023년에는 매출의 75%가 손실이었다면 2024년에는 매출의 약 44%로 손실 비율이 크게 감소했어요.
빠른 성장 과정에서 연구개발 및 시설 확장에 많은 투자가 들어가고 있기 때문이기도 한데요. 당분간 적자를 피하기는 어려워 보여요.
✅현금 상황은?
2024년 말 기준으로 현금 보유액은 2억 7,100만 달러로 전혀 망할 것 같지 않아요. 현재 로켓랩이 보유한 현금은 1년의 적자를 감당하고도 충분히 버틸 수 있는 수준의 보유량이기 때문이죠.
✅흑자 전환 언제쯤 가능할까요?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을 보면 다음과 같아요.
- 2025년 : 여전히 적자(약 1억 5,000만 달러 예상)
- 2026년 : 일부 애널리시트들은 소폭 흑자 전환 가능성을 제시
- 2027년 : 대부분 애널리스트들이 흑자 전환을 예상(약 8천만 달러 이익)
[출처 : 비지니스와이어]
제 생각에는 뉴트론의 성공적인 출시와 함께 정부의 계약 확대가 로켓랩 흑자 전환 시기를 앞당기는 '키 포인트'가 될 걸로 예상되는데요.
2026년에 뉴트론이 성공적으로 상용화되면서 발사 빈도가 늘어난다면 더 빠른 흑자 전환도 가능할 것으로 보여요.
왜 로켓랩이 특별한 기업일까요?
제가 처음 주식을 시작했을 때는 좋은 회사가 좋은 주식이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항상 맞는 건 아니더라구요. 로켓랩의 경우 두 조건을 모두 갖춘회사라고 생각이 드는데, 몇 가지 근거를 제시해볼게요.
✅명확한 사업 모델
고객의 위성을 우주로 쏘아올려주는 발사 서비스와 위성 및 부품을 직접 만들어서 판매하는 우주 시스템 제조업으로 어떤 분야에서 돈을 벌고 있는지 간단명료하게 설명할 수 있어요.
✅확실한 경쟁력
- 스페이스X는 트럭급 로켓이라면 로켓랩은 소형SUV급 로켓으로 틈새시장을 공략 중
- 발사부터 위성 제작까지 모든 서비스를 수직계열화를 통해 한 회사가 제공
- 세계에서 2번째로 많이 발사된 '미국산'로켓
✅뚜렷한 성장
- 2023년 매출 2억 4천만 달러에서 1년만에 4억 3천만 달러로 약 80% 가까이 성장
- 2025년 1분기 1억 2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2% 성장
- 새로운 사업 영역으로 계속 확장 중이며, 그 중 하나가 바로 신규 위성 플랫폼 '플래틀라이트'[출처 : Motley Fool]
Rocket Lab Is Growing Faster Than SpaceX. Here's Why. | The Motley Fool
Rocket Lab just might be the first space company to figure out how to compete with SpaceX on price.
www.fool.com
스페이스X와 로켓랩 그리고 AST 스페이스모바일
세 회사 모두 우주 관련 산업에 존재하지만, 사업 모델과 강점이 달라요.
1️⃣스페이스X
- 사업 : 대형 로켓 발사 : 스타링크(위성인터넷), 우주 탐사
- 강점 : 엄청난 자금력(기업가치 $125B), 재사용 로켓 기술, 대량 위성 배치 능력
- 약점 : 비상장 기업으로 투자 불가능 및 오너리스크 탑재
- 재무 : 비공개이나 스타링크로 연간 60억 달러 이상 매출 추정
2️⃣로켓랩
- 사업 : 소형 로켓 발사, 위성 제작, 우주 부품 제조
- 강점 : 소형 위성 전용 시장 선점, 발사 일정 유연성 확보, 우주 산업 완전 수직계열화
- 약점 : 아직 수익성 부족, 스페이스X 대비 규모가 작은 편
- 재무 : 매출 4.3억 달러, 순손실 1.9억 달러(2024년)
3️⃣AST 스페이스모바일
- 사업 : 우주에서 직접 일반 스마트폰으로 연결되는 광대역 위성 통신망 구축
- 강점 : 혁신적 비지니스 모델, 이동통신사와 파트너십(AT&T, 보다폰 등)
- 약점 : 상용화 서비스 시작 전 단계, 매출이 미미함, 기술적 불확실성
- 재무 : 매출 거의 없음, 개발 단계에서 적자가 지속되는 중
로켓랩만이 가지는 경쟁우위
- 검증된 발사 실적 : 경쟁자들이 아직 따라오지 못하는 수준의 발사 성공률 및 빈도
- 수직 계열화 : 로켓과 위성, 부품까지 모든 것을 자체적으로 제작 가능
- 정부와 계약 : 미 우주군, 나사와의 안정적 계약 관계가 존재함
- 고객 맞춤형 서비스 : 대형 로켓 공유 서비스와 달리 고객이 원하는 정확한 궤도에 위성 배치가 가능함
AST 스페이스모바일의 경우 로켓을 직접 발사하는 기업이 아니며, 로켓랩의 고객이 될 수 있는데요. 실제로 AST는 스페이스X의 팰컨9을 이용해서 위성을 발사했기 때문이에요.
투자 관점에서 볼 때 로켓랩은 AST에 비해서 검증된 사업 모델을 가지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우주 산업 투자라고 할 수 있을 거 같아요.[출처 : Seeking Alpha]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는 '뉴트론'
제가 주식을 하면서 배운 지식 중 하나는 "미래의 기대치가 주가를 움직인다"는 사실이었어요. 로켓랩의 미래 기대치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 중 하나는 바로 '뉴트론' 로켓인데요.
뉴트론은 로켓랩의 새로운 중형 로켓 이름으로 크기가 일렌트론보다 훨씬 더 큰 141피트이며, 최대 13,000kg 페이로드를 가지고(일렉트론 대비 43배), 부분 재사용이 가능한 로켓이에요.
현재 2025년 하반기 첫 발사를 목표로 열심히 개발중인데요. 현재 로켓랩 주가의 많은 부분이 바로 이 '뉴트론의 성공적 출시'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에요.
Rocket Lab Partners With U.S. Air Force for Neutron Launch for Re-Entry Mission | Rocket Lab
*Long Beach, CALIF. May 8, 2025.* Rocket Lab USA, Inc. (Nasdaq: RKLB) (“Rocket Lab” or “the Company”), a global leader in launch services and space systems, today announced it will launch its new medium-lift reusable rocket Neutron for the U.S. Air
www.rocketlabusa.com
만약 성공만 한다면 스페이스X의 팰컨9과 바로 경쟁할 수 있으며, 미 우주군의 56억 달러 규모 프로그램 참여까지 가능해지니까요.
단,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뉴트론 발사 지연에 베팅을 하고 있어서 성공적으로 출시되는 경우에만 높은 주가가 인정받을 수 있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들긴 하더라구요.
그래서 지금 로켓랩 투자 괜찮을까요?
로켓랩 주가가 26달러인 걸 보고 진짜 놀랐는데요. 무려 1년만에 600%가 상승했다니 말도 안되는 수준의 상승이죠. 사실 투자가 고민될 수 밖에 없는 상승폭이긴 하죠.
☑️애널리스트들은?
애널리스트들의 의견은 정말 분분한데요. 최고 목표가는 33달러에서 45달러 수준이며, 최저 목표가는 16달러에서 가장 낮게는 7달러까지도 보고 있네요.
하지만 애널리스트들은 대부분 긍정적인데요. 그 이유는 매도 의견을 가진 사람이 없고, 매수 또는 보유 수준이기 때문이에요. 그에 대한 내용은 [여기] 관련 링크를 통해서 직접 확인해보시는 것도 추천드려요.
☑️개인적 생각
우선 지금 당장 올인하기보다는 조금씩 나눠서 분할매수를 할 거 같아요. 주가가 1년 사이 많이 올라서 조정이 필연적일 거 같거든요.
또한 뉴트론 로켓 개발 상황에 대해 SNS나 뉴스를 통해서 계속 트레이싱 해야 할 거 같아요. 만약 순조롭게 진행만 된다면 주가 상승의 큰 요인 중 하나가 될테니까요.
또한 로켓랩 외 다른 우주산업들의 현황은 어떤지, 앞으로 우주산업 분야가 더 투자가치가 있는지 꾸준히 고민해봐야겠죠?
게다가 하이리스크 종목인만큼 전체 포트폴리오 중에서 약 10% 정도만 투자하는게 안전할 거 같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우주 산업은 앞으로 10년 동안 큰 성장이 기대되는 분야인데요.
로켓랩은 그 성장의 한가운데 있는 회사인만큼 단기적 변동성에 흔들리지 마시고 장기적 관점에서 이 회사의 성장을 지켜보는 것도 좋은 전략이 될 거 같아요.
마지막으로 제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교훈 중 하나를 공유하면서 마칠게요.
"내가 가진 돈 이상 투자하지 말고, 이해하지 못하는 기업은 투자하지 말자!" 감사합니다.(투자 권유 아닙니다!)
아이렌(IREN) 비트코인 채굴부터 AI인프라까지, 미래 선점 가능할까?
아이렌(IREN) 비트코인 채굴부터 AI인프라까지, 미래 선점 가능할까?
비트코인이 정말 지금 핫하다는 건 누구나 인정하실텐데요. 지금 '업비트' 기준으로 가격이 1억 5천만 원을 넘으면서 투자를 망설이시는 분들이 정말 많아요. 아이렌이라는 회사는 단순한 비트
ikggung.kr
커버드콜과 버퍼 ETF 뜻 변동성 시장에서 뭘 선택해야 할까?
커버드콜과 버퍼 ETF 뜻 변동성 시장에서 뭘 선택해야 할까?
이번 글에서는 커버드콜과 버퍼 ETF 뜻 변동성 시장에서 뭘 선택해야 할까?에 대한 주제를 가지고 글을 작성해보도록 하겠다. 요즘 주식시장을 보면 정말 정신 없다는 말이 딱이다.아침에 계좌
ikggung.kr
버티브홀딩스(VRT) 데이터센터 관련주 액침냉각 점유율 1위 주가 전망
버티브홀딩스(VRT) 데이터센터 관련주 액침냉각 점유율 1위 주가 전망
이번 글에서는 버티브홀딩스(VRT) 데이터센터 관련주 액침냉각 점유율 1위 주가 전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최근 중국의 딥시크 여파로 AI와 그와 관련된 모든 기업들이 급락을 했는데, 특
ikggung.kr
'경제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듀오링고 DUOL 기업가치 분석 및 경제적 해자 유무, 지금 가격은 고평가? (1) | 2025.05.21 |
---|---|
아이렌(IREN) 비트코인 채굴부터 AI인프라까지, 미래 선점 가능할까? (1) | 2025.05.20 |
저당권 근저당권 차이와 말소 방법 비용 경매한다면 알아두자 (0) | 2025.05.19 |
현금영수증으로 종합소득세 절세방법 프리랜서 사업자 경비처리 항목은? (3) | 2025.05.19 |
전세 월세 집수리비 누가 내야할지 모른다면 실제사례 5가지 보고가세요 (0) | 2025.05.12 |
작년 6월 등기한 6억 아파트 올해 첫 재산세 납부기간 계산 방법 (0) | 2025.05.12 |
직장인 N잡러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공제 항목 챙겨가세요 (1) | 2025.05.04 |
풍차돌리기 뜻과 활용해서 목돈 만드는 현실적 전략 및 경험 (1) | 2025.05.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