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우와 직녀 칠석과 오작교

    7월 7일은 칠석

    칠석은 한국의 24절기 중 하나인데 이 절기에는 특별한 사연이 있다.

    바로 많은 사람들이 알고있는 견우와 직녀의 이야기이다. 이 때는 1년 동안 멀리 떨어져 지내다가 견우와 직녀가 만나는 날이라고 한다.

    목동 '견우'와 옥황상제의 손녀 '직녀'의 결혼이었다.

    견우와 직녀 이야기견우와 직녀 이야기

    그 둘은 결혼했지만 그 뒤에도 옥황상제의 눈 밖에 날 행동을 해서 이에 화가 난 옥황상제가 둘을 은하수를 기준으로 동쪽에 견우를, 서쪽에 직녀를 보내서 떨어져 살게 했다.

    일년 내 그렇게 떨어져 지내다가 그 둘이 만나게 되는 유일한 날이 바로 칠석인 것이다.

    견우와 직녀 이야기견우와 직녀 이야기

    오작교

    까마귀'오' 까치'작' 다리'교' 해서 까마귀와 까치가 놓은 다리를 일컬어 오작교라고 부른다.

    이 오작교는 견우와 직녀의 안타까운 사연을 듣고 까마귀와 까치들이 이들을 칠석에 만나게 하기 위해 하늘에서 놓아주는 다리를 말한다.

    하여 견우와 직녀는 이 오작교를 건너서 서로가 만나게 된다.

    1년동안 꿈에서도 그리워했던 나의 '임'을 만나는 것이다. 또한 칠석에 까치와 까마귀는 하늘에 올라가 다리를 놓느라 한 마리도 보기 힘들고, 어쩌다가 보이는 것은 하늘로 올라가지 못한 병든 까치와 까마귀라고 한다.

    이 날 다리를 놓았던 까치와 까마귀들은 모두 머리가 벗겨지는 슬픈 운명을 맞게 된다고도 한다.

    견우와 직녀 이야기견우와 직녀 이야기

    세차우? 쇄루우?

    칠석을 전후로 하여 하늘에서는 부슬부슬 비가 내리거나 이슬비가 내리는 일이 많은데, 이것은 견우와 직녀가 1년동안 뽀얗게 먼지가 앉은채로 쓰지 않았던 수레를 씻기 때문에 그 물이 떨어져서 비가 된다고 한다.

    그래서 '수레를 씻어내는 비'의 의미로 세차우라고 하며, 칠석 저녁에 만약 비가 내린다면 이것은 서로 사랑하는 견우와 직녀가 1년만에 만나서 흘리는 기쁨의 눈물로, 이튿날 새벽에 비가 내리는 것은 이별에 대한 슬픔의 눈물이라고 한다.

    이때 내리는 비들을 '눈물을 흘리는 비'라고 하여 쇄루우라고 부른다.

    견우와 직녀 이야기견우와 직녀 이야기

    각 나라의 견우와 직녀 이야기

    나는 이 이야기가 한국에서 만들어진 거라고 당연히 생각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만 있는 이야기가 아니었다.

    우리나라에서는 408년 조영된 고분의 안에서 주요 별자리 그리고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떨어진 두 주인공의 모습이 그려져있는 것이 발견된것으로 보아, 이미 그 이전에 견우와 직녀의 이야기가 중국에서 전해진 것으로 유추된다.

    견우와 직녀의 이야기는 사실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졌다기 보다는 중국에서 우리나라로 수입(?)되어진 것으로 보인다. 확실하지는 않으나 중국 한대에서 중국 내 괴담을 기록한 책이었던 <재해기>의 안에 이 이야기와 너무도 유사한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오기 때문이다.

    이 이야기의 골자는 견우성과 직녀성이 갈라져있다가 7월 7일 칠석에 만나게 되는 과학적인 현상을 토대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국의 4대 설화 중 하나로 꼽히며, 견우성과 직녀성은 중국의 문헌 중 시경-소아편에도 나온다고 한다.


    일본에도 타나바타라고 불리는 것이 7월 7일 칠석이다. 이 날은 마쯔리(축제)를 개최하며 모두가 함께 즐긴다.

    타나바타에는 제사를 지내던 행사였고, 무로마치 시대에 이르러 종이에 소원을 적어 나무에 매다는 풍슾이 생기며, 붓글씨 쓰기 등의 행사도 진행하는 마쯔리가 되었다.

    타나바타 마쯔리는 에도시대 5대 명절 중 하나로 여겨졌으나, 메이지 시대에 이르러 폐지되었고, 그 이후에 일본의 민중들에게도 기억에서 사라지다시피 되었다고 한다.

     



    728x90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