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이렌 내러티브 | 코어위브와 비교하면 미래가 보인다?

익꿍 2025. 7. 28.
반응형

워렌 버핏은 이런 말을 했죠. "시장이 아직 알아보지 못한 기업을 보는 눈이, 진짜 투자자의 자질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은 제가 여러번 다뤄왔던 '아이렌'이라는 기업에 대해 알기 위해 이미 데이터센터 시장에서 '대장'이라고 손꼽히고 있는 코어위브와 비교하면서 간단하게 설명을 해드리려고 해요.

 

기존에 썼던 관련 글들이 궁금한 분들은 아래의 글도 꼭 한 번 읽어보시길 추천드려요!

아이렌(IREN), 지금 당신이 오해하고 있는 이유

비트코인 채굴 기업으로만 시장에서 인식하고 있는 Iris Energy(아이렌)이지만, 지금 이 기업은 AI 인프라 기업으로 탈바꿈을 하고 있는데요.

단순한 비트코인 채굴 관련주가 아니라 차세대 코어위브의 대항마가 될 수 있는 잠재력을 품고 있는 기업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2025년 상반기에 시장은 여전히 아이렌을 "채굴기업"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우리는 그 변화의 본질을 먼저 알아차릴 필요가 있어요. 바로 그 내러티브가 지금 투자 기회로 바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죠!

아이렌 vs 코어위브 정면 비교로 드러나는 기회

항목 아이렌 코어위브
시가총액 약 $4.3B 약 $23B+
AI GPU 자산 약 4,300대(B200 포함) 수천 대(H100 중심)
데이터센터 전력 인프라 500MW 이상 2,000MW 이상
AI 클라우드 고객 스타트업이 위주로 비공개 상태 오픈 AI, 마이크로소프트 등 거대 기업
AI 수익화 단계 초기 단계 본격 매출 단계
전략 채굴 >> AI 인프라 전환 중 AI 인프라에 집중

위의 수치만 보면 CoreWeave가 전반적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는데, 중요한 건 앞으로의 성장률과 전환 속도라고 할 수 있을 거 같아요.

 

게다가 호라이즌1과 스위트워터 공사가 모두 마무리되면 엄청난 전력 인프라를 가지게 되고, 이는 결국 폭발하는 데이터센터 수요를 충족하기에 충분하다고 할 수 있을 거 같아요.

 

요약하자면 아이렌은,

  • 6월 말 기준으로 50 엑사해시의 해시레이트를 달성해서 채굴 효율이 세계 최고 수준이고
  • 2,400대의 엔비디아 블랙웰 GPU를 추가로 구매하고 클러스터당 수백 대 운영을 시작했으며,
  • ESG 기반의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기 때문에 브랜드 차별화가 확실하고
  • AI 클라우드 수익이 전체 수익의 10% 수준에 진입했기 때문에 향후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 약 860M 달러 규모의 자본 조달이 이미 완료된 상태

즉, 단순한 전통 비트코인 채굴 기업이 아니라 AI 인프라 기업으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어요.

IREN이 가지는 한계와 돌파 가능성

과제 현재 상태 극복 가능성
대형 AI 고객 확보 스타트업 위주의 작은 계약만 있음 중상(수요 증가 중)
브랜드/인지도 채굴 이미지가 강함 중상(ESG + GPU 사업으로 개선 중)
자본력 차이 코어위브보다 작음 중(조달 속도가 빠름)
네트워크 효과 아직은 부족함 중하(GPU 인프라 기반 확장 가능)

현시점에서는 코어위브가 완성된 AI 클라우드 업계의 리더라면 IREN은 빠르게 추격하는 전환기에 있는 '우량주'라고 할 수 있을 거 같네요.

현재 IREN이 가지는 투자 매력은 뭘까?

✅저평가된 밸류에이션

코어위브가 $23B임에도 아이렌은 아직 $4.3B 수준으로 5배 가까이 성장 가능하며, AI 자산 확대 속도와 수익화의 속도를 감안하더라도 밸류에이션 갭이 지나치게 크다고 판단되고 있어요.

✅실행력 있는 전환 전략

단순한 계획이나 청사진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블랙웰 GPU 수천개 확보와 데이터센터의 확장, 수익 모델의 변화가 실제로 실현되고 있어 미래가 기대되는 기업이에요.

✅ESG 기반의 장기 투자

재생 에너지 기반의 운영과 함께 ESG 전략은 장기 투자자에게 매우 유리할 수 있어요.

✅시장이 아직 눈치채지 못한 스토리

대형 기관이나 빅테크와의 계약이 이뤄지는 순간 급격한 가치 재평가 구간에 들어가면서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는 리레이팅이 일어날 수 있죠.

 

결론

아이렌은 지금 가시적인 숫자보다는 '변화의 방향성'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기업인데요. GPU 자산의 확보와 함께 AI 수익화 전환 그리고 ESG 기반의 확장 등 모든 방향이 코어위브와 같은 AI 인프라 모델로 수렴되고 있다는 점이 핵심이에요.

 

현재는 채굴기업에서 AI 인프라기업으로 전환기에 있지만, 저평가된 고성장 잠재주이면서 트럼프의 AI 버블의 정점에 높은 주가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은 기업이라고 할 수 있겠죠.

 

단기 수익이 아닌 중장기 방향성을 보면 지금은 작지만 5년 내 시장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포지션을 차지하고 있으며, 차세대 코어위브가 되기 위한 모든 준비가 끝났다고 할 수 있을 거 같네요.


 

728x90
반응형

댓글